문신=Tattoo의 사전적 의미
유사 의료 행위로 피부에 바늘로 찔러 진피층과 피하조직에 상처를 내어 문신용 잉크를 인위적으로 넣어서 피부에 글씨, 무늬, 그림 등을 피부에 새기는 행위를 말합니다.
문신의 역사
문신(Tattoo)은 고대 사회에서 일종의 증표의 기능으로 주술적인 뜻을 가졌습니다. 원시문명에서는 주술적인 의미로 마오리족처럼 신분을 상징하기도 하고, 성인식을 통과한 사람에게는 몸에 문신(Tattoo)을 새겨 부족의 구성원이라는 뜻으로 의미를 부여했다고 합니다.
선사 시대 유럽에서는 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환부에 문신(Tattoo)을 하고, 유교가 등장 후 중국 문화권에서는 문신을 야만인의 풍속으로 여겼지만, 증표의 의미로 문신을 하였습니다. 형벌로서 죄인과 노예에게 새기는 낙인으로 사용했습니다. 노예에게 새기는 문신은 '주인이 있다'라는 증표였습니다. 다만, 몸에 새긴 문신이 지워지지 않고 평생 살아야 한다는 것이 지나치게 가혹한 처사라 생각하여 후대로 갈수록 낙인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줄어들었습니다
한국에서의 문신은 고대 한민족의 전통적인 문화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문신 문화가 들어오면서 문신에 대한 생각이 부정적으로 바뀌게 되었고,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초반까지의 형벌로서 죄인의 죄명을 얼굴이나 팔뚝에 먹물로 문신을 새겨넣는 묵형을 행하였다. 그러나 경국대전 이후 묵형은 사라졌습니다.
조선시대에의 문신은 전쟁에 나가기 전, 몸에 자기 이름과 인적사항을 새기는 풍습과 장수가 사기 증진 목적으로 새기기도 하였습니다. 1960년대까지도 유행한 문신은 연인끼리 또는 친구와 같은 의형제끼리 바늘에 실을 꿰어 먹물을 살에 통과시키는 '점상 문신'도 있었습니다.
영구화장(permanent makeup)이란 무엇인가?
영구화장(permanent makeup)에 사용하는 컬러는 매우 화려한 칼라로 색상도 다양합니다. 영구화장은 문신용의 수용성 염료인 잉크를 피하조직의 근육층까지 매우 깊게 침투시켜 색이 진하고 또렷하게 보이도록 하여 영구적인 자국을 남게 하였습니다. 문신은 레이저 기계로만 지울 수가 있지만, 지울 때 만만치 않은 비용을 지불하게 되고, 한 번만에 지워지지 않아 여러번 지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더구나 지웠다고 해도 완벽하게 지우지지 않을수 있으며, 상처를 내거나 흉터가 남길수 있으며 지울때 아프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영구화장으로 눈썹, 아이라인, 입술 문신이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영구화장의 문신용 염료인 잉크의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멍든 것처럼 퍼져 보이거나, 잘못된 디자인으로 평생 살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영구화장을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반영구화장(semi-permanent makeup)이란?
식품의약품 안전처(식약처)에서 허가를 받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색소를 주입시키는 방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지워지는 화장기법을 말합니다. 피부 피하조직의 근육층까지 매우 깊게 침투시켜 시술하는 문신과는 달리 피부 표면에 색을 입히는 느낌으로 하기 때문에 고통이 수반되지 않습니다.
주로 눈썹, 아이라인, 입술, 헤어라인에 시술을 합니다. 시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각질 탈각과 함께 색은 점차 자연스럽게 됩니다. 반영구화장은 1회로 하는 것보다 시술 후 약 한 달 뒤 미흡한 부분을 리터치 받아야 완성이 됩니다.
시술받을 시 주의할 사항은 해당 교육을 받은 전문인인지 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실패하지 않고 시술을 받고 싶으시다면 본인이 원하는 디자인과 본인에게 어울리는 디자인을 사전에 조사하고 전문가에게 충분한 상담을 받고 진행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영구 화장과 반영구 화장의 다른점
반영구화장 | 영구화장 | |
사용되는 재료 | 식약청 허가를 받은 천연색소 | 검증되지 않는 잉크 등 |
알레르기 반응 | 알레르기 반응은 희박 |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 날수 있음 |
감염 위험성 | 낱개포장이 된 소독처리한 일회용 재료를 사용 함으로 안전하다 |
금속재질로 된 팁을 사용하게 되면 미소독시 감영의 우려가 있다 |
주입 깊이 | 표피와 진피층의 경계까지 (약 0.06~0.015mm) | 진피층이상 (1mm 이상) |
시술 위치 | 얼굴 (눈썹, 아이라인, 입술, 헤어라인 등) | 신체위주 |
색상 | 자연스로운 색상 연출 가능하다. | 선명하게 연출이 가능하다. 깊게 시술시 색 번짐의 우려 |
색변화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옅어진다. | 산화되어 푸른색이나 붉은색으로 변화된다 |
지속성 | 6개월에서 2년정도가 색상이 좋음 | 영구적으로 지워지지 않음 |
수정가능여부 | 중화작업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 레이저로 수정가능하나 자국이 남을수 있다. |
댓글